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Hand of Fate 2
(r3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갬빗 === 인카운터 진행시 나오는 --운빨--시스템. 전작의 카드섞기에 추가로 이번 작에는 휠, 주사위, 펜듈럼이 생겼고 동료들은 각각 한 종류의 갬빗에 도움을 주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 카드 섞기 전작과 같이 4장의 카드를 보여준 다음 섞고 1개를 고르는 방식의 갬빗. 인카운터에 따라 나오는 카드 조합이 천차만별. 축복에 따라 선택한 카드를 무르고 다시 뽑을 수 있거나 대성공 카드를 추가시킬 수 있고, 장비에 따라서는 실패 카드 한 장을 미리 알 수도 있거나 카드를 더 느리게 혹은 덜 섞게 할 수도 있다. 아리아드네의 능력으로는 원하는 카드 1장을 복사할 수 있다. 섞는 방식은 전작과 같아서 낮은 난이도에서는 원하는 카드를 뽑을 수 있지만 난이도가 올라갈수록 카드를 더 빨리, 더 많이 섞으며 카드가 섞이는 순서와 위치에 따라 아예 눈으로 완벽하게 따라갔어도 정확한 순서를 알 수 없는 경우가 자주 생기므로 운과 장비에 크게 좌우되는 갬빗이다. 가령 왼쪽부터 1-2-3-4 순으로 정렬된 카드가 합쳐지며 위에서부터 3241 순이 되었고, 이것이 펼쳐지며 ?-?-3-?가 되었다고 했을 때 카드가 움직이는 과정을 눈으로 완벽히 쫓아갔다고 하더라도 플레이어는 3을 제외한 카드들의 위치를 확신할 수 없다. 일단 합쳐지는 과정에서 1이 2보다 아래에 위치했다는 정보는 알 수 있지만 4가 정확히 몇번째에 위치했는지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합쳐진 시점에서 이것이 3421인지 3241인지 3214인지 구분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결국 이후 카드가 합쳐질 때의 완벽한 역재생 애니메이션으로 펼쳐졌다고 하더라도 플레이어는 이것이 2-1-3-4가 아니라는 정보 외에는 아무것도 확신할 수가 없다. 딱 한 번 섞일 때도 골치아프게 섞이면 이런 난장판이 발생하는데 카드 갬빗은 한 번만 섞는 경우가 거의 없고 대부분 2번, 많게는 3번에서 최대 4번까지도 섞으므로 동체시력이 아무리 좋다한들 운에 맡겨야하는 갬빗이 되는 것이다. 그래도 동체시력이 아주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닌데, 가장 위에 놓이는 카드의 위치는 항상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첫번째로 가장 위에 놓인 카드와 두번째로 가장 위에 놓인 카드의 위치만이라도 파악하면 도움이 된다. 만일 첫번째로 섞이며 가장 위에 놓인 카드가 성공이었고, 두번째로 섞을 때 해당 카드가 가장 위에 놓이지 않았음을 확인했다면 두번째로 섞일 때 가장 위에 있던 카드는 첫번째로 가장 위에 놓였던 성공 카드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때문에 이 경우 두번째로 가장 위에 놓인 카드를 제외하고 고르는 것이 그나마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된다. 첫번째로 가장 위에 놓인 카드가 실패였다면 반대로 두번째로 가장 위에 놓인 카드를 고르는 것이 성공 확률이 높다. ~~3번 이상 섞이면 이 과정이 의미없어질만큼 막 고르는 것과 확률 차이가 별로 없어지니 그냥 운에 맡기자.~~ * 휠 카드를 원형으로 두고 돌려서 멈추는 카드를 선택시키는 룰렛 형식의 갬빗. 난이도에 따라 돌아가는 속도가 달라진다. 선택을 누르면 멈추지만 바로 딱 멈추는 게 아니라 거기서 속도가 느려지면서 멈추는지라 원하는 카드를 뽑을려면 어느 정도 타이밍에 맞춰 눌러야 된다. 축복 중 돌아가는 속도를 늦춰주는 축복이 있고 플래티넘 장비 중엔 선택된 카드의 좌, 우 카드를 선택하는 게 가능해지는 것도 있다. 맬라클립스의 능력으로 뽑은 카드를 되돌리고 다시 돌릴 수 있다. 대부분의 인카운터에서 휠 갬빗은 세 가지 난이도로 나뉘는데, 휠이 한바퀴 돌아가는 주기가 가장 느린 것은 1.9초, 중간 속도는 1.5초, 가장 빠른 것은 1.1초 가량이 걸리며, 1.9초 주기의 경우 원하는 카드가 3시, 1.5초 주기의 경우 12시에서 1시 사이, 1.1초 주기의 경우 9시에서 10시 사이에 위치했을 때 휠을 멈추면 해당 카드를 획득할 수 있다. 한 인카운터에서 휠을 반복적으로 돌리며 난이도가 점점 높아지는 경우 위보다 주기가 더 빨라지는 경우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캐러밴 약탈은 4번째 휠을 돌릴 때 주기가 약 0.8초이며 원하는 카드가 3시에 도착했을 때 멈춰야하고, 5번째 휠은 이보다도 더 빨라진다. 속도감을 파악하고 싶다면 핸드폰 스탑워치로 한바퀴가 돌아가는 시간을 재보면서 감을 잡아보는 것도 좋다. 익숙해지면 팬듈럼처럼 운에 좌우되지 않고 원하는 보상만 골라먹을 수 있는 갬빗이기 때문에 카드나 주사위 갬빗보다 좋은 보상을 받기가 쉽다. * 주사위 주사위(대부분의 경우 3개)를 굴려서 목표 수치 이상이 나오게 만드는 갬빗. 다른 갬빗과는 달리 한 번의 기회가 더 있어서 마음에 안 드는 주사위들을 선택해 다시 굴릴 수 있다. 장비 중에는 던진 수치에 +2를 해주는 반지, 2눈과 5눈을 추가로 다시 던질 수 있게 해주는 투구 등이 있고, 축복 중에는 각 주사위마다 +1~2를 해주는 축복이나 조건을 맞추면 다시 굴릴 수 있게 해주는 축복도 있다. 대성공, 대실패 개념은 없고 목표 수치 이상이면 성공, 수치 미만이면 실패로 처리하며, 인카운터에 따라서 성공 실패와 별개로 주사위눈의 총량을 카운트하는 경우도 있다. 콜비요른이 동료일 때, 실패했다면 콜비요른의 능력으로 주사위를 1개분 추가하여 굴릴 수 있다. 다른 갬빗들과 달리 주사위 갬빗만큼은 그야말로 순전히 운에 달려있는만큼 이를 외적 요소로 얼마나 보완하느냐가 성공과 실패를 가르는 관건이고, 이것이 주사위 갬빗을 보완해주는 콜비요른이 고평가되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 펜듈럼 진자를 이용하는 갬빗. 레이저가 좌우로 움직이다가 클릭하면 레이저가 멈추고 이 때 쏘는 블록에 따라 성공 여부를 판정한다. 금색 블록은 대성공, 은색은 성공, 적색은 대실패이고 아무것도 못 맞추면 실패. 축복 중에서 대실패를 실패로 간주하게 해주는 축복이나 레이저를 좀 더 굵게 만들어주고 진자의 속도를 조금 늦추는 장비 등이 있다. 에스트렐라의 능력으로 펜듈럼을 다시 하는 게 가능하다. 레이저가 꽤 얇고 블록의 길이가 제각각이며 레이저 뿐만 아니라 블록도 움직이는데 속도가 제각각이며 블록 배치가 악랄하기 때문에 조금만 실수해도 대실패가 뜨기 쉽다. 그래도 클릭하면 레이저가 바로 멈추고, 인카운터의 펜듈럼 배치는 변하지 않고 동일하며 대부분의 펜듈럼은 차분히 기다리다보면 쉽게 성공시킬 수 있는 타이밍이 잡히므로[* 특정 인카운터들은 진자와 블록이 좌우로 왕복하는 주기가 동일해서 기다려도 더 좋은 타이밍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존재한다. 물론 이는 진자와 블록이 겹쳐지는 위치가 항상 동일하다는 뜻도 되므로 특별히 더 어렵지는 않다.] 딜러의 말처럼 반복하면 운에 좌우되지 않고 숙달될 수 있는 갬빗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